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스키 오크통 종류와 사용 횟수 보관창고 알아보기

by 술과 영화 이야기 2024. 8. 3.

위스키 오크통 저장창고
오크통 저장창고

위스키 오크통 종류와 사용 횟수 보관법 

위스키 오크통 종류와 사용 횟수 보관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스키 오크통은 크기와 용량에 따라

종류와 사용 횟수가 달라집니다

 

미국의 버번위스키는

법적으로 새로 만든 오크통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위스키들은 보통 다른 술을 숙성했던

오크통을 재사용합니다

 

위스키 오크통의 사용 횟수

위스키 오크통의 사용 횟수는

통상적으로 3,4번 정도입니다

 

사용했던 오크통에서

새 위스키를 숙성하는 이유는

오크통의 특성은 두드러지지

않게 하여 풍미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버번위스키가 

스카치위스키에 비해 짧은

숙성기간을 가지는데도 

버번 특유의 강한 특징을 나타냅니다

 

미국의 높은 기온과 더불어

오크통 내부를 태운 점도 있지만

사용하지 않은 새 오크통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사용하지 않은 오크통을

버진 오크통이라고 하고

여러 술의 숙성에 사용했던

오크통을 위스키 숙성에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퍼스트필 first fill 이라고 합니다

 

퍼스트필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술의 숙성에 사용이 됐기 때문에

두 번째 사용되는 것이며

다음 숙성 대상인 위스키에는 처음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퍼스트필 이외에도 위스키에 오크통을 

두 번째, 세 번째로 사용하면

세컨드필 second fill

써드필 third fill로 부릅니다

 

오크통의 가격이 위스키 원가에서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오래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법적인 규제가 따로 없어서

몇 번째 사용인지 정확히 밝히지 않고

리필이라고 두루뭉술하게 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스키 오크통의 크기

위스키 오크통의 크기는 다양합니다

오크통의 크기와 숙성 기간에 따라서

맛과 풍미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작고 새것일수록 더 진하고 빠르게 숙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스코틀랜드와 여러 위스키를

생산하는 나라와 업체들은

오크통을 캐스트 cask로 표기하고

미국에서는 배럴 barrel로 표기합니다

 

국제적인 표준은 따로 없고

같은 이름의 통이라고 해도

지역이나 쓰임새, 제조사별로 크기가 조금씩 다릅니다

용량에 따른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메리칸 스탠다드 배럴 
버번 배럴
Amerian Standar Barrel
Bourbon Barrel

 

아메리칸 스탠다드 배럴은

아메리칸 위스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크기로

통상 180~200L 정도입니다

 

쿼터 캐스크 Quater Cask

쿼터 캐스크는 배럴의 쿼터로

50L 정도의 용량입니다

 

뒤에 나올 버트의 쿼터인

125L 용량을 말하기도 합니다

 

혹스헤드 Hogshead

혹스헤드는 스카치위스키의

기준이 되는 캐스크로

와인, 사이다 등을 주로 담았습니다

통상 250~300L 용량입니다

 

바리크 Barrique

바리크는 와인과 코냑을

위한 캐스크입니다

코냑에는 300L

와인용으로는 225L

를 주로 사용합니다

 

펀천 Puncheon

펀천은 대형캐스크인

턴의 1/3 용량인

300~500L 정도입니다

 

펀천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미국 참나무에 두꺼운 널빤지를

사용하는 짧고 통통한

머신 펀천 machine pun-cheon

 

스페인 오크에 비교적 얇은 널빤지를

사용하는 길쭉한

셰리 펀천 sherry pun-cheon

 

머신펀천은 주로  럼에

셰리 펀천은 셰리 와인에

주로 사용했습니다

 

버트 Butt

버트는 500L의 큰 용량입니다

보통 셰리 와인에 많이 사용해서

셰리버트라고 도 합니다

 

파이프 Pipe

파이프는 포르투갈의 포트와인에

주로 사용된 오크통이고

크기는 500~600L입니다

 

버트와 같은 크기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드럼 Drum

드럼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데요

마데이라 와인에 주로 사용했고

용량은 650L입니다

 

고르다 Gorda

고르다는 700L 용량으로

주로 위스키를 혼합할 때 

사용합니다

 

턴 Tun

턴은 대형 용량으로

미국 표준 갤런의 용량입니다

용량은 960L입니다

 

위스키 오크통의 보관

위스키 오크통의 보관은

전통적으로 눕혀서 했습니다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굴려서 이동하려면 눕혀서

보관하는 방법이 편리했고 주로 나무로 된 선반에

2,3단으로 쌓아서 보관했습니다

 

근래에는 팔레트에 세우고

지게차의 도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스키 오크통의 보관창고

위스키 오크통의 보관창고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더니지 저장창고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등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방식으로

공기의 순환이 잘되고

흙바닥을 사용했습니다

 

낮은 천장에 오크통 2,3개를 랙형으로

낮게 깔기 때문에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고

습도가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높게 쌓기는 어려워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대엔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2. 랙형 저장창고

나무로 만든 랙에 오크통을

쌓아 높이 올려서 보관하는

방식의 저장창고입니다

 

오크통을 눕혀서 틀에 고정해

저장하고 높이는 12단까지 쌓기도 합니다

 

더니니지 저장창고에 비해

온도와 습도가 균일하진 않지만

경제적이고 효율이 높아서 많이 사용합니다

 

미국에선 랙하우스로 불립니다

 

3. 팔레트형 저장창고

오크통을 세워서 팔레트에

올린 뒤 그대로 쌓아서 보관합니다

 

지게차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운반과 보관에 용이합니다

현대방식에선 오크통을 높게 쌓아서 보관하기 때문에

오크통 위쪽과 아래쪽의 환경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온도가 낮은 나라에서는 깨끗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고

온도가 높은 나라에서는 달고 맛이 강한 게 특징입니다

 

여기까지 위스키 오크통 종류와

사용 횟수 보관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